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후불 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발급, 요금 청구 방법, 청년 할인, 월 부담 한도, 따릉이 요금,
후불 기후동행카드는 기존 기후동행카드에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기능이 포함된 카드로 기존에 발급된 선불 기후동행카드로는 이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카드사에 후불 기후동
oh.youngcheenergy.com
2025 후불 기후동행카드 발급, 사용 등록 및 경기도 과천, 고양, 남양주, 구리, 김포, 의정부 이용
충전 없이 월 62,000원에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후불 기후동행카드가 출시되었습니다. 경기도에서 기후동행카드의 사용 가능한 범위는 의정부 관내 1호선과 의정부 경전철, 과
oh.youngcheenergy.com
K 패스란 시내버스, 지하철, GTX-A(수도권 광역 급행철도), 광역버스, 민자철도(신분당선 등)
대중교통 요금을 환급해 주는 제도로 2024년 5월 시행 예정입니다.
교통비 지출 금액의 20~53%까지 이용자에게 다음 달에 직접 현금, 마일리지, 카드공제 등으로
환급해주며 전국에서 사용가능합니다.
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단점인 이동거리 기준 적립 방식을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계층별(20~53%)
적립(최대 60회까지) 방식으로 개선하였으니 잘 살펴보시고 혜택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.
적 립 기 준
-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는 경우
- 주요 혜택: 지출금액의 20~53% 환급(최대 60회)
예시 | 환급 (최대 60회) | 대중교통비 월 7만 원 |
일반인 | 20% | 14,000원 |
청년(만 19~34세) | 30% | 21,000원 |
저소득층(수급자 차상위계층) | 53% | 37,000원 |
만 나이 계산 바로가기 👆️
- 각 카드사 추가 할인 (최대 10%)
신한카드 | 하나카드 | 우리카드 | 현대카드 | 삼성카드 |
BC | KB국민 | NH농협 | 티머니 | DGB유페이 |
- 신청방법 : K패스 공식홈페이지 (korea-pass.kr) , 앱, 카드사 홈페이지 등
- 적용지역 : 전국 17개 시 · 도(현재 176곳→189 시·군·구 확대 예정)
인구수 10만 명 이하인 지자체는 K 패스 제외
알뜰교통카드와 K-패스 비교
-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: K패스 재발급 없이 기존 교통카드 그대로 "K패스 회원 전환" 사용
- 알뜰교통카드의 단점 : 이동거리에 따라 할인
앱을 통해 출발/도착을 확인
기존 월 21회에서 👉️ 월 15회로 변경
K-패스, 인천 I - 패스, The 경기패스 비교
서울 : K-패스 or 기후동행카드 선택
인천 : K-패스(인천 I-패스) → 월 60회 초과분 환급, 만 65세 이상 인천시민(30% 환급)
경기 : K-패스(The 경기패스) → 월 60회 초과분 환급, 청년층 : 만 35 ~ 39세 청년층 기준 적용 (30% 환급)
전국 : K-패스
서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이시라면 아래 링크에서 K-패스와 기후동행카드의 혜택을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.
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사용방법 자세히 알아보기
기후동행카드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모바일 앱을 깔고 교통카드로 사용하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으시리가 생각됩니다. 기후동행카드를 구매부터 사용방법까
yo.youngcheenergy.com
기후동행카드 사용구간 및 경기도, 인천 운영 계획
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 하차 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가능하지만 지하철은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하
hm.youngcheenergy.com
기후동행카드 (구매, 등록, 충전, 환불방법)
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),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 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. 휴대폰 기종에 따른 카드 유형 및 카드 충전방법, 사용방법,
yo.youngcheenergy.com